• 2025년 08월 23일
©돌베개

지금, 한국 사회에서 공산주의를 다시 말할 수 있을까

―로버트 스칼라피노·이정식, 『한국공산주의운동사』, 한홍구 옮김, 돌베개, 1986(개정 2015) 문미라(서울시립대 국사학과 교수) 2025년 4월 17일, 서울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에서 ‘항일혁명 조선공산당 100주년 기념식’이 열렸다. 이 행사는 오랫동안 ‘죽은 역사’로 묻혀 있던 조선공산당 출신 독립운동가들의 역사적 복권을 촉구하는 자리였다. 기념식장 주변에는 극우 유튜버와 시위대가 모여들어 일촉즉발의 상황을 연출하기도 했다. 그들은 이 기념식이 항일을 고리로 대한민국의 정통성을 부정하는 북한의…

전문

내란사태와 시민적 교양의 의미

― 매슈 아널드, 윤지관 옮김, 『교양과 무질서』, 한길사, 2016(개정판) 윤지관(문학평론가) 매슈 아널드(Matthew Arnold, 1822~1888)의 『교양과 무질서(Culture and Anarchy)』(1869)는 빅토리아 시대로 불리는 영국 19세기 후반의 사회적 갈등과 혼란의 와중에서 출간된 정치평론서다. 도시노동자들의 선거권을 인정한 제2차 선거법 개정(1867)을 전후하여 1년 넘게 벌어진 정치논쟁에서 아널드가 민주주의의 확립을 위해 교양이 다른 어떤 정치적 의제보다 중요하다고 주장한 것은 잘 알려져…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