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04월 01일

산불 이후의 세계

― 신하림, 『산불은 마을을 어떻게 바꿨나』, 바른북스, 2024 박대우(출판편집자, 온다프레스 대표) 『산불은 마을을 어떻게 바꿨나』는 경제학 박사이자 『강원일보』 기자인 신하림이 2019년부터 2023년까지 4년여간 강원도 고성에서부터 삼척에 이르기까지 영동지역 일대를 취재하며 각지의 산불 피해를 기록한 재난참사 보고서이자 백서다. 산불이 발생할 때마다 언론은 연일 그 피해 규모를 대서특필하지만 그 관심은 길어야 한 달까지만 이어진다. 그 뒤로 피해…

전문

성장은 답이 아니라고 끊임없이 말하기

― C.더글러스 러미스, 김종철·최성현 옮김,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 』(개정판), 녹색평론사, 2011 윤은성(시인, 기후생태 활동가) 기후위기를 체감하게 되면서 나는 점차 민주주의에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지구 지표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부를 독점한 일부가 자본주의 체제하에서 벌이는 파괴적 활동과 착취 시스템에 의해, 생태계는 전에 없이 ‘절멸’을 향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기후위기에 대응한다는 것은 무엇을 뜻할까. 더…

전문

운디드니에서 스탠딩락으로

: 디 브라운, 최준석 옮김, 『운디드니에 나를 묻어주오』, 나무심는사람, 2002 백영경(제주대 사회학과 교수) 원주민의 역사에 대한 책을 하나 고르겠다고 하고서 처음 떠올린 책이 『운디드니에 나를 묻어주오』(이하 『운디드니』)이긴 했다. 하지만 도대체 이게 언제적 책인가. 아무리 오래된 책이라도 괜찮으니 필요한 책을 골라 소개한다는 게 <잔다리서가>의 취지라고는 하나 원서가 처음 발간된 게 1970년이니 오래되어도 너무 오래되긴 했다. 내가…

전문

‘생명권 정치’와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 제레미 리프킨, 이정배 옮김, 『생명권정치학』(대화출판사, 1996) 조효제(성공회대 사회학전공 교수) 서평의 형식으로 오래 전의 도서를 소개하는 일은 흔치 않다. 제레미 리프킨의 『생명권정치학』은 출간 때에도 호평을 받았지만 작금의 현실에 주는 함의가 큰 책이어서 다시 음미할 가치가 충분하다. 리프킨의 주장을 요약하자면, 인간은 살아있는 지구행성에 대해 책임을 지는 존재가 되어야 하고 생명권 보전에 실패하면 안전, 안정, 안보도 없다는…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