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08월 23일
©천년의상상

‘수평적 유토피아’론을 맞이하는 한 가지 방법

― 박현옥, 『자본의 무의식 : 자본주의의 꿈과 한민족 공동체를 향한 욕망』, 김택균 옮김, 천년의상상, 2023 김학재(사회학자) “남북한은 이미 자본에 의해 트랜스내셔널 코리아 형태로 통일되었다.”라는 문장으로 시작되는 이 책은 남북관계나 통일문제에 대해 생각해 왔던 기존의 관념을 통째로 뒤흔든다. 우리는 흔히 영토적으로 통합된 하나의 민족 공동체를 통일로 생각하지만 이 책은 1990년대 이후 남북한이 이미 자본주의의 역학으로 인해…

전문
©현실문화연구

지구화된 21세기의 혐오와 폭력 이해하기

―아르준 아파두라이, 『고삐 풀린 현대성』, 차원현 외 옮김, 현실문화연구, 2004 김도혜(덕성여대 문화인류학과 교수) 1996년 미국에서 출판된 이 책은 인류학자 아르준 아파두라이가 냉전체제 이후 본격화된 세계화(globalization) 현상이 만들어내는 문화적 차원(cultural dimensions)에 대해 분석한 에세이다. 이 책은 미국에서 출판된 이래 여러 언어로 번역되며 사회과학 연구에서 ‘풍경,’ ‘정경,’ 혹은 ‘스케이프’(scapes)라는 개념을 유행시켰다. 이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정독하지는 않았어도…

전문

성장은 답이 아니라고 끊임없이 말하기

― C.더글러스 러미스, 김종철·최성현 옮김, 『경제성장이 안되면 우리는 풍요롭지 못할 것인가 』(개정판), 녹색평론사, 2011 윤은성(시인, 기후생태 활동가) 기후위기를 체감하게 되면서 나는 점차 민주주의에 관심이 생기기 시작했다. 지구 지표면 온도가 상승함에 따라, 부를 독점한 일부가 자본주의 체제하에서 벌이는 파괴적 활동과 착취 시스템에 의해, 생태계는 전에 없이 ‘절멸’을 향하고 있다. 이 상황에서 기후위기에 대응한다는 것은 무엇을 뜻할까. 더…

전문

탐욕스러운 시장, 지체할 수 없는 돌봄

: 클라우디아 골딘, 김승진 옮김, 『커리어 그리고 가정』(생각의힘, 2021) 최시현(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학술연구교수) 잠시 상상해보자. 같은 대기업에서 만나 결혼해 5살 아이를 키우는 맞벌이 부부가 있다. 아침에 씩씩하게 등원을 한 아이가 어린이집에서 갑자기 구토를 한 후에 열이 나기 시작했다며 어떻게 할지 묻는 교사의 전화는 둘 중 누구에게 걸려올까. 그리고 긴급하게 결정된 주말 출장과 언제 끝날지 모르는 야근은…

전문